[3분증시] 뉴욕 증시, 내년 긴축 경계하며 하락 外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세계 증시와 우리 증시를 짚어보는 시간 '3분 증시'입니다.<br /><br />연합인포맥스 정윤교 기자 나와 있습니다.<br /><br />안녕하십니까. 먼저 간밤 미국 증시부터 정리해주시죠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간밤 뉴욕 증시는 FOMC 정례회의 이후 내년 추가 긴축에 대한 경계가 일면서 하락했습니다.<br /><br />마감가 살펴보면, 다우지수는 전장보다 0.42% 내렸고요.<br /><br />S&P500 지수는 전장 대비 0.61%, 나스닥지수는 전날보다 0.76% 밀리면서 장을 마쳤습니다.<br /><br />3대 지수는 오전에 상승 출발했지만, 오후 2시 연준 FOMC 회의 결과가 나오자 큰 폭으로 떨어지면서 하락 전환했는데요.<br /><br />우선 연준은 시장의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0.5%포인트 인상했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의 기준금리는 4.25%에서 4.50% 범위로 2007년 이후 15년 만에 최고 수준에 도달했고요.<br /><br />한국과의 기준금리 차이는 1.25%포인트로 확대됐습니다.<br /><br />또 연준은 내년 최종금리 목표치를 5.1%로 예상하면서 내년 추가적인 금리 인상을 시사했고요.<br /><br />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인플레이션 잡기에 올인하겠다는 의지를 강조하면서 지수를 끌어내렸습니다.<br /><br />업종별로는 S&P500 지수 내 헬스 업종을 제외하고 10개 업종이 모두 하락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12월 금리 인상 폭은 시장 예상대로 줄었지만, 최종금리 수준과 경제 전망이 시장 분위기를 어둡게 한 거군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그렇습니다.<br /><br />연준은 내년 최종금리 수준을 당초 4.6%에서 5.1%로 올려 잡으면서 시장에 매파적 신호를 보냈습니다.<br /><br />이보다 높은 금리를 예상한 위원도 19명 중에서 7명에 달했고요.<br /><br />2명의 연준 위원은 내년에 5.5%를 웃도는 금리를 전망했습니다.<br /><br />또 위원들은 내년에 현재보다 낮게 금리가 인하될 가능성은 없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.<br /><br />연준의 통화 정책 전환을 기대했던 투자자들은 이에 대한 힌트도 찾을 수 없었습니다.<br /><br />성명서가 이전과 거의 같은 내용이었기 때문인데요.<br /><br />연준은 이번 회의 성명에서 "충분히 제약적인 통화정책 기조를 달성하기 위해 목표 범위의 계속된 인상이 적절할 것으로 예상한다"라는 기존 표현을 유지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파월 의장의 기자회견도 예상보다 매파적이었던 것으로 풀이되고 있나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파월 의장은 내년에도 긴축 행보가 이어질 거라는 방침을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어제 발표된 11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 폭이 완화된 것은 반가운 일이지만, 11월 근원 소비자물가지수 상승 폭은 전년 대비 6%로 여전히 연준의 물가 목표치인 2%의 3배에 달한다고 진단했습니다.<br /><br />따라서 물가 안정으로 돌아가려면 갈 길이 멀다고 강조했고요.<br /><br />금리 인상을 지속하겠다는 의지를 반복했습니다.<br /><br />요약하자면 '우리 연준의 목표는 충분한 긴축 정책을 통해 물가 목표치인 2%를 달성하는 것이다', 그러므로 '연준의 목표치인 2%까지 물가가 내려간다는 확신이 들 때까지 기준금리 인하는 고려하지 않겠다'는 게 파월 의장의 입장이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그렇군요.<br /><br />오늘 코스피 전망도 짚어주시죠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어제 코스피는 미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에 안도하면서 2천400선에 육박하며 상승 마감했는데요.<br /><br />오늘 국내 시장의 투자 심리는 다시 악화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간밤 미국의 FOMC 회의가 매파적이었던 것으로 풀이되면서 국내 시장도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관측되고요.<br /><br />또 오늘은 중국의 증시 흐름에 따라 변동성을 보일 가능성도 있습니다.<br /><br />장중에 중국의 11월 산업생산과 소매 판매, 고정자산투자 등 주요 경제 지표 발표가 예정돼 있어서 투자자들의 시선을 끌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#FOMC #빅스텝 #3분증시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